728x90 포스팅3 포스팅할때 팁, 크롤링과 이미지 ALT 티스토리는 에디터가 두가지가 있는데, 구에디터와 새로운 에디터로 나누어 집니다. 새로운 에디터는 UI적으로는 깔끔해 보이는데, 기능적인 면으로는 크게 없어진 것이 많아서 좀 별로 였지만 그래도 포스팅하는데 형식을 크게 신경쓰는 편이 아니었고, 글을 그대로 작성하였지만 나중에는 아차 싶었습니다. 바로 ALT기능때문입니다. 네이버 검색엔진이나 다음 또는 구글의 검색엔진에 글을 검색하면 여러가지 게시글들이 나오게 됩니다. 이 과정은 저절로 이루어진것이 아니라, 봇(bot)라는 웹페이지 수집 기계가 돌아다니면서 적합한 게시글을 노출을 시켜줍니다. 참고로 이런 알고리즘은 대외적으로 공개하지는 않는데, 악용의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마 이런 알고리즘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굉장히 쉽게 큰돈.. 2020. 3. 20. 블로그로 수익내기 포스팅비 vs 광고클릭 몇번 이 주제에 대해서 언급한적이 있었는데, 너무 파편화된거 같아서 이 게시글에서 집중해서 적어 볼려고 합니다. 블로그로 수익내는 크게 두 가지 방법입니다. 예전 만큼은 아니지만 2000년대 초반 ~ 2010년까지만 해도 파워블로그의 위세는 아주 굉장했습니다. 실제로 이때 상위 1~0.1%의 블로거들은 어지간한 직장인 수입을 뛰어넘음과 동시에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남들 모르는 노다지였지요 하지만 2010년이 지나면서 페이스북을 비롯한 SNS의 발달로 점점 옮겨지고 유튜브의 플랫폼의 성장, 가장큰 타격으로 네이버의 저품질 블로그 필터링 알고리즘으로 많은 블로그가 저품질이 먹혀버리면서 우수수 떨어져 나갔습니다. 파워블로그라는 위세는 예전만하지 못하지만, 그래도 어느 직군이나 상관없이 상위 0.1%.. 2020. 2. 21. 글 작성 키워드,주제에 관한 몇 가지 생각 블로그를 오랫동안 하다보니 뭐가 먹히겠다. 무슨 글을 쓰면 좋겠다가 캐치가 어느정도 되는 편입니다. 그런 편에서 몇가지 생각 난것을 정리해볼려고 작성해보았습니다. 나중에도 시간이 나면 추가를 해봐야 겠습니다. 1. 이슈 이슈 같은 경우에는 워낙 회전이 빠르다 보니 1주일을 못갑니다. 특히 사건사고의 경우 정말 수명이 짧습니다. 다만 정치적인 이슈나 쟁점 같은경우에는 수명이 좀 길기 때문에 길게는 1달을 있으며, 또는 비슷한 쟁점이 떠올랐을때 뜬금없이 예전에 썼던 글이 역주행을 하는것도 볼 수 있습니다. (대신에 대박이나면 방문자가 끝도 없습니다. 이슈글을 하는 사람들은 그거하나 보고 가는것이고 하루에 수천~수만명이 꾸준하게 들어오는 블로그를 보면 이슈글을 굉장히 공격적으로 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2019. 9. 6. 이전 1 다음 728x90